Spring/[Spring]Spring 정리4 @RequestParam 파라메터 매핑 게시판 프로젝트를 하면서 @RequestParam을 많이 사용하였다. @RequestParam이란, 사용자가 제공한 HTML 데이터를 읽고 request 파라메터에 묶어주는 작용을 한다. (요청 파라메터를 메소드의 파라메터 값으로 전달받을 때 사용한다) @GetMapping("/board/read") public ModelAndView readBoard(@RequestParam(value = "boardNo") String boardNo){ ModelAndView view = new ModelAndView(); try { Map param = new HashMap(); param.put("boardNo",boardNo); BoardVO.Response boardVO = boardService.getBoa.. 2022. 1. 27. Http 기본개념 (response , request) Http란 인터넷의 요청과 응답을 주고 받는 통신규약을 말한다. request와 response는 http의 소통 방식이다, 구글에 강아지를 검색한다. ->get방식을 사용한 request라고 부른다.(브라우저 검색) 자, 이제 구글에 강아지 이미지들이 뜰 것이다.. ->서버가 응답 즉 Response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Request , Response방식이라고 말한다. 즉 컴퓨터들끼리 html파일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소통방식을 말한다. 게시판 만들기에서도 사용하였는데 여기서 Request는 사용자가 게시판을 만들 때 글이 써지도록 요청하는 객체이며, Response는 요청을 받아서 게시판을 생성할 때 쓰는 객체이다. 그래서 Request객체는 originFileName 과 storedFile.. 2022. 1. 12. Multipart란? 우리는 웹을 브라우징할 때 http프로토콜(요청-응답하는 통신규약)을 사용한다. 단순 1차 적인 웹 브라우징이 아니라 유투브 라이브도 볼 수 있을 정도로 http는 인터넷 세계에서는 없어서는 안되는 통신규약이다. 하지만 , 만약 한번의 요청(request)이 여러개의 데이터 타입을 보여달라고 하면 어떨까? 예를 들어 꽃 이름과 사진을 다 보여달라고 하는 경우 말이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 multipart이다. 단어 뜻대로 multi( 다양한..) part(부분들...) 1.Multipart은 여러개의 데이터 타입을 한번에 보낼 때 사용한다. 게시글에 날짜,글 처럼 글로만 되어있는 것이 모여있을 때는 text로만 되어있기 때문에 같은 데이터 타입이다. 이러한 경우는 key=value로 타입이 같은.. 2022. 1. 12. @bean이랑 @component 차이 공부하다가 설명을 봐도 도저히 이해가 안갔음 그냥 IoC가 관리하는 의존성 주입 객체로 이해했는데 오늘 쌤한테 제대로 설명을 들음 @Component랑 @Bean 둘다 의존성을 주입하는 것임 즉, 내가 만든 코드가 프로그램 너꺼다!! 해주는 거임 근데, @bean의 경우 주로 스프링부트에 동작하는 기능을 만들 때 쓰고, @Component는 화면을 위해 일하는 애라는 늬앙스를 가지고 있음 스프링부트할 때 주로 @component를 많이 썼는데, 생각해보니까 화면 구성에 필요한 부분을 만들 때 썼었다 . 예를 들면 pagingVO 할 때도 화면 구성하는 부분이라서 @component씀.. 2022. 1. 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