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70

static 키워드 정리 (메소드) 먼저 ... Static은 왜 객체화하지 않고 사용이 가능할까?(heap,static 메모리 이해) Static은 이미 공부한대로 객체화하지 않고 클라스 그대로 가져와서 메소드나 변수를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왜 객체화를 안해도 쓸 수 있을까? static은 말그대로 정적키워드이다. heap이라는 것은, 내가 접근할 수 있는 메모리 영역인데, 객체화가 시작되면 변수값은 heap이라는 메모리 안에 들어간다. Car.변수 이름 등등 하지만 static이 붙여진 변수나 메소드는 static이라는 저장공간에 바로 올라간다. 그 static메모리를 점유하여 자리에서 움직이지 않는다. static final이 보통 같이 붙어있는 경우가 많은데 , 이는 상수를 만들기 위함이다. 상수란 값이 변하지 않는 값을 말한다.. 2022. 1. 7.
자바 get,set 메소드 (getter,setter)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는 프로그래밍의 질서를 위하여 기본적으로 객체 외부에서 직접적으로 접근하는 것을 막는다. 예를 들어, 지구는 지구인은 입국이 가능하다. 하지만 외계인은 입국이 불가능하다. 지구의 질서가 흐트러질 수 있기 때문... 객체 지향 프로그램은 이러한 직접적인 접근은 지향하고, get,set 메소드를 통해 간접적으로 데이터를 변경하는 방법을 선호한다. 객체를 생성했을 때, 필드값을 private으로 한 경우 get과 set을 통해 값을 가지고 오거나 변경해준다. 연습했던 은행 코드로 확인해보자 아래의 코드느 1000원의 파라메터값을 private 으로 정해주지 않아서 , 어느 누구나 balance를 변경할 수 있다. Hacker라는 객체가 A1 계좌를 받아 잔액을 0으로 설정하면 그대로 잔.. 2022. 1. 7.